Reader's Eye
  • Reader's Eye란?
    • 리더스아이의 구성
    • 리더스아이의 활용
    • 누가 시선추적을 할 수 있나요?
  • 시작하기
    • 가입하기
    • 관리자 화면
      • 트리 (tree) 영역
      • 정보 탭(tab)영역
    • 구독하기
    • 학생 등록하기
  • 시선측정 진단하기
    • 장치 설치
      • 장치 설치하기
      • 디스플레이 설정하기
      • 연결 프로그램 설치하기(1회)
      • KIOSK(진단사이트) 로그인
      • 모니터 폭 설정하기
    • 진단 KIOSK 시작하기
      • 사용자 선택
      • 시선추적 기능 선택
      • 설정 페이지로 돌아가기
    • 읽기 능력 진단하기
      • 진단글 선택
      • 시선 보정하기
      • 읽기능력 진단 수행
    • 안구운동 검사 하기
    • 자유글 시선측정
    • 인지훈련 하기
    • 눈 훈련 하기
  • 시선추적 읽기능력 진단
    • 시선과 읽기능력의 관계
      • 읽기의 정신적 프로세스
      • 눈은 왜 움직일까?
      • 글을 읽는 시선의 움직임
      • 응시 시간이 짧고, 응시비율이 높아야 합니다.
      • 시선 도약폭이 넓어야 합니다.
      • 시각 폭이 커야 합니다.
      • 시선 역행이 적어야 합니다.
      • 읽기 속도가 빨라야 합니다.
      • 문장을 뛰어넘지 않아야 합니다.
      • 중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습니다.
      • 눈깜박임
      • 눈동자의 크기 변화
    • 진단 결과 보기
      • 키오스크 진단 결과 보기
      • 시선 정보 분석 (시선 기록)
      • 종합 요약
      • 종합 분석
      • 시선 도약폭 분석
      • 응시 시간 분석
      • 시선 이동 종류 분석
      • 정보 탐색 분석
      • 문제 풀이 분석
      • 보고서 출력 (PDF 다운)
      • 읽기진단 보고서 공유하기
      • 우수한 결과와 비교하기
      • 전후 개선 비교하기
  • 안구운동 검사
    • 안구운동 검사란?
    • 안구운동 검사의 종류
      • 도약안구운동 Saccade
      • 추적 안구운동 Pursuit
      • 안구통제검사 Anti-saccade
      • 사회적 신호 탐지
    • 검사 결과 보기
  • Training 인지훈련
    • 트레이닝이란?
    • 트레이닝의 효과
    • 트레이닝 설정하기
    • 훈련(트레이닝) 종류
      • Sentence Masking
      • Keyword Finding
      • Category Finding
      • Visual Counting
      • RSVP
      • Visual Span
      • Trail Making Test
      • Word Ordering
      • Stroop Test
      • RSVP
      • 문법 훈련
        • 단어기능 구분
    • Eye training
      • Saccade Tracking
      • Pursuit Tracking
      • Anti-saccade Tracking
      • Sentence Tracking
      • Horizontal Jump
      • Vertical Jump
      • Horizontal Saccade
    • 명예의 전당
    • 트레이닝 수행 보고서
  • 학생 사이트
    • 트레이닝 하기
    • 읽기능력 진단 결과 보기
    • 안구운동 검사 결과보기
    • 자유글 측정 결과 보기
    • 내 정보 보기
  • 자유글 시선측정
    • 자유글 시선측정이란?
    • 자유글 문서 등록하기
    • 자유글 시선측정 결과 보기
  • 관리하기
    • 키오스크 모드 설정
    • 부매니저(선생님) 관리
    • 구독/결제 관리 하기
    • 조직
      • 조직 생성하기
      • 조직정보 관리
      • Agency를 조직에 가입시키기
      • 진단글 관리하기
  • FAQ
  • 이용 약관
  • 배송 교환 환불 취소 정책
  • 개인정보 처리방침
  • 구버전 매뉴얼
    • 대쉬 보드 (ver.1)
    • 시선보정 (ver. 1)
      • 시선 보정하기 v2
    • 장비 설치하기 (Ver. 1)
    • 첫 화면(버전1)
    • 읽기능력 진단 시작 (ver.1)
      • 시선읽기능력 진단 시작
    • 트레이닝 하기(ver.1)
      • 트레이닝 관리하기(ver.1)
    • 자유글 문서 등록하기(ver.1)
    • 자유글 시선측정하기(ver.1)
    • 시선추적 : 읽기를 연구하는 과학적 방법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문제 영역 체류 비율 task area dwell time
  • 읽기 능력과 어떤 관계가 있습니까?
  • 어느 정도가 적당합니까?
  • 어떻게 개선할 수 있습니까?
  • 핵심 영역 체류 비율 core area dwell time
  • 읽기 능력과 어떤 관계가 있습니까?
  • 어느 정도가 적당합니까?
  • 어떻게 개선할 수 있습니까?

Was this helpful?

  1. 시선추적 읽기능력 진단
  2. 시선과 읽기능력의 관계

중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습니다.

읽기능력, 문해력이 우수하면 글에서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찾아낼 수 있습니다. 글을 읽으면서 동시에 내용의 위치를 파악하는 능력은 탐색효율성을 증가시키므로 문제풀이에 유리합니다.

Previous문장을 뛰어넘지 않아야 합니다.Next눈깜박임

Last updated 1 year ago

Was this helpful?

문제 영역 체류 비율 task area dwell time

글을 읽고 문제를 풀기 위해선, 우선 문제 자체를 잘 읽어야 합니다. 문제를 푸는 전체 시간 동안 문제 영역 (문제가 쓰여진 글 영역)을 보는 시간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가를 측정합니다.

읽기 능력과 어떤 관계가 있습니까?

일반적으로 시험문제를 잘 푸는 학생들은, 문제를 꼼꼼하게 읽는 경향이 있습니다. 읽기 능력에서 중요한 정보의 취득에 집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읽기능력 뿐 아니라 교과 시험능력에도 관련이 있습니다.

어느 정도가 적당합니까?

문제를 3초 이상 읽고, 전체 읽기 중 20% 이상 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어떻게 개선할 수 있습니까?

문제를 꼼꼼하게 읽는 습관이 들도록 연습합니다.

특정 에 속하는 단어들을 찾는 Category finding 훈련은 문제를 기억하며 탐색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핵심 영역 체류 비율 core area dwell time

글을 읽고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문제풀이에 필요한 핵심정보가 제시된 핵심영역을 빠르고 상세히 탐색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핵심 정보가 있는 영역에 시선이 머무른 시간(dwell time : 체류시간) 의 비율을 측정합니다.

읽기 능력과 어떤 관계가 있습니까?

핵심영역을 빠르게 찾는다는 것은, 글을 읽으면서 전체적인 의미와 구조를 파악하고 기억하면서 읽는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눈이 글을 훑고 지나가기만 했다면 핵심영역 외의 영역도 무작위적으로 탐색하게 됩니다. 즉 글에 대한 이해와 기억이 좋을수록 핵심영역 탐색 속도가 빨라집니다.

내용을 완전히 파악했다면, 핵심영역을 전혀 보지 않고도 문제를 풀 수도 있습니다.

어느 정도가 적당합니까?

문제영역을 읽고 난 후 5초 이내에 영역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영역에 2초 이상 머물러야 합니다.

어떻게 개선할 수 있습니까?

핵심 키워드를 빨리 찾는 훈련을 합니다.

핵심 단어에 대한 빠른 탐색과 판단을 요구하는 Keyword finding이나 Category finding 트레이닝을 수행합니다.

문제풀이를 위한 핵심영역(보라색 네모)을 잘 탐색한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