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글 직접 생성하기
선생님이 원하는 지문으로, 시선읽기진단글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진단글 추가
시선읽기 진단글 목록에서 [추가]버튼을 누르세요.

제목에 적절한 글의 제목을 입력하세요.

글상자에 지문을 붙여넣거나, 직접 작성하세요. 지문이 박스를 벗어난다면, 폰트크기나 줄간격을 조정해서 박스를 벗어나지 않도록 조정하세요.
지문의 길이는 80어절~200어절 정도가 적당하며, 수준이 높을수록 긴 지문을 사용하십시오.
문제 작성
진단글을 읽고나서, 학생이 풀어야할 문제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가급적 '사실적 이해'를 검사할 수 있는 문항을 권장합니다.
문제추가

[문제 항목] 박스의 + 버튼을 이용해서 문제를 추가하십시오.
첫번째 문제 ('이 글은 읽기 쉬웠나요?')는 삭제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문제수는 3~5개가 적당하며, 최대 11개까지 가능합니다.
보기 작성 및 정답 설정
추가한 문제를 클릭하면, 하단 [보기항목] 박스에서 보기(선택지)들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선택지는 최소 2개여야 하며, 선택지 중 하나를 정답으로 체크해야 합니다
문제가 제시될 때 지문을 보여주고 싶다면, [문제 풀 때 글 보여주기]를 체크합니다.
핵심영역 설정
지문을 보여주는 문제인 경우, 문제를 풀 때 중요한 정보가 포함된 부분을 [핵심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핵심영역은 진단글의 특정 단어나 문장 부분을 드래그하여 사각형으로 설정합니다.
핵심영역은 진단시, 시선을 분석하여 핵심영역에 얼마나 빠르게, 많이 보았는지를 분석하며, 이는 진단 점수에 적용됩니다.
핵심영역은 시선추적의 오차를 감안하여, 글자보다 약간 여유있게 설정하십시오.
글 특성 설정
우측의 글 설정 [언어], [분야] [레벨] 등을 설정합니다. 레벨은 이 진단글을 읽기에 적정한 만나이로 설정합니다.

[글 정보 자동계산]을 눌러서 줄 수, 문장 수, 어절 수, 글자 수를 자동으로 셉니다. 만약 잘못 세어졌다면 수동으로 고칠 수 있습니다.

[사용여부]를 [사용]으로 설정해야 실제 진단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임시로 작성중이라면 [미사용]으로 선택하세요.

진단글은 학생들의 진단에 따라 자동으로 조금씩 레벨이 바뀝니다. 만약 설정한 레벨을 고정으로 적용하려면 [적용레벨]을 [고정]으로 설정하세요.
[제주명조]폰트는 보기에 미려하지만, 한자 표현이 되지 않습니다.
작성 후 반드시 목록에서 미리보기,로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십시오.
작성한 글은 해당 기관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목록이나 키오스크에서 [내 글] 범주에 속하게 됩니다.
관리사이트의 [키오스크] 탭에서, [내글]을 사용하도록 선택해야 진단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